육아/유아 (~만 5세)

영유아기, 말이 늦는 아기… 걱정해야 할까?

dynamiclife1 2025. 2. 26. 12:00

 

 

아이가 또래보다 말을 늦게 시작하면 부모로서 걱정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모든 아기가 같은 속도로 언어를 습득하는 것은 아니므로 성급한 판단보다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기의 언어 발달 과정과 말이 늦을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겠습니다.


1. 아기의 언어 발달 과정 📊

아기들은 개별적인 발달 속도를 보이지만, 일반적인 언어 발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0~6개월: 옹알이를 시작하고 주변 소리에 반응
6~12개월: ‘마마’, ‘빠빠’ 같은 단순한 소리를 냄
12~18개월: 10개 이상의 단어를 말할 수 있음
18~24개월: 두 단어를 조합하여 문장을 만들기 시작
24~36개월: 200~1000개의 단어를 사용하며 문장을 구성

아기가 이 범위에서 크게 벗어난다면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2. 말이 늦는 이유, 무엇이 있을까? 🤷‍♂️

아기가 말을 늦게 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단순히 개인차일 수도 있고, 특정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 자연스러운 개인차 – 일부 아이들은 신체 활동에 더 집중하다가 늦게 말을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 환경적 요인 – 부모와의 대화 부족, 스마트폰 사용 증가 등 환경적 요인이 언어 발달을 지연시킬 수 있습니다.
🔹 형제 관계 – 형이나 누나가 있는 경우, 부모가 대신 말해주는 경우가 많아 언어 발달이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 청각 문제 – 중이염 등으로 인해 청력이 좋지 않으면 말이 늦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발달 지연 – 전반적인 발달이 느린 경우 언어 습득도 늦어질 수 있습니다.


3. 말이 늦다면 언제 걱정해야 할까? ⚠

아기가 말이 늦더라도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많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24개월이 지나도 단어 수가 50개 이하
🔸 30개월 이후에도 두 단어를 연결하지 못함
🔸 말을 하지 않으면서 눈을 잘 맞추지 않음
🔸 말보다는 몸짓이나 울음으로만 의사소통을 하려 함
🔸 소리에 대한 반응이 둔하거나 특정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것 같음

위와 같은 증상이 지속된다면 소아청소년과나 언어치료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말이 느린 아기, 어떻게 도와줄까? 🎤💡

아기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부모가 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많이 말 걸어주기 🗣
일상 속에서 아이에게 많은 말을 걸어 주세요. "이건 사과야, 빨갛지?" 같은 설명도 도움이 됩니다.

책 읽어주기 📖
그림책을 보며 이야기해 주는 것은 어휘력을 늘리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답변을 기다려주기
아이가 반응할 시간을 충분히 주고, 말을 할 때 칭찬해 주세요.

스마트폰 사용 줄이기 📵
영상은 일방적인 자극이므로 아이의 언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놀이를 통해 대화 유도하기 🎲
역할 놀이, 인형 놀이 등으로 자연스럽게 대화를 유도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5. 결론 🎯

말이 늦는 아기를 보며 불안해할 필요는 없지만, 발달 지연이 의심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개별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언어 발달을 돕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부모의 따뜻한 관심과 기다림 속에서 아이는 자연스럽게 말을 배울 것입니다. 조급해하지 말고, 아이와 함께 즐겁게 대화하는 시간을 가져 보세요! 😊💙

반응형